제정 2014. 9. 1 / 수정 2017. 9. 1 수정 2018. 3. 1 / 수정 2019. 4. 1 수정 2020. 1. 1 / 수정 2024. 5. 31 1. 논문의 내용 『中國地域硏究』는 중국 경제⋅정치⋅사회⋅문화 등 사회과학 영역의 학술논문, 연구노트 및 서평과 같은 연구성과물을 게재한다. 2. 논문의 언어 원고는 한국어, 중국어 및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그 외의 언어로 집필된 원고의 게재여부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3. 논문의 독창성(표절의 방지) 가. 『中國地域硏究』에 투고하는 논문은 독창성을 갖는 것으로서 반드시 미발 표된 것이어야 한다. 나. 투고논문은 저자의 창의적 연구 결과물로 본인의 연구를 포함하여 다른 연구자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다. 투고자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논문유사도검사 서비스(논문표절방 지 시스템)를 활용하여 표절방지에 대한 검증을 마쳐야 한다. 4. 논문의 저작권 가. 투고 논문이 게재될 경우, 그 논문에 대한 모든 저작재산권은 학회에 귀속 되며, 게재 논문은 저작자표시(CC BY)를 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나. 투고자는 논문 투고 시 저작권 활용 동의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5. 투고 자격과 투고 절차 가. 『中國地域硏究』에 논문을 투고하기 위해서는 모든 저자가 중국지역학회 회원으로 가입하고 연회비를 납부하여야 한다. 회비 납부 여부는 사무국 의 확인을 기준으로 한다. 나. 『中國地域硏究』논문 투고자의 자격은 원칙적으로 박사학위 소지자로 하 며, 박사학위 미취득자는 학위 취득자와 공동으로 투고한다. 다. 『中國地域硏究』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지정된 기한에 본 학회의‘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http://submission.jcas.kr)’을 통하여 투고한다. 라. 논문 투고 시 소정의 ‘투고신청서’를 편집위원회 이메일(casak2014@daum. net)로 송부하여야 한다. 마. 제출 원고는 본 학회의 ‘원고작성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바. 논문의 심사 및 게재 시 소정의 심사비 및 게재비를 납입하여야 한다. 심사 비 및 게재비에 관한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별도 규정에 따른다. 6. 논문심사의 절차 및 기준 가. 『中國地域硏究』의 심사는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을 통하여 객 관적이고 공정하게 진행한다. 나. 편집위원회는 투고 논문의 제목 및 내용에 따라 전공에 부합하는 3인의 심사위원을 위촉한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투고자와 동일 소속 기관의 연구자는 심사위원에서 배제한다. 다. 심사위원은 정해진 기한 내에 심사결과를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 템’을 통하여 편집위원회에 발송한다. 라. 투고된 원고에 대하여 심사위원이 수정을 요구할 경우, 투고자는 이에 따 라 수정하거나 답변을 제출한다. 투고자가 심사위원의 수정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편집위원회는 투고 논문의 게재를 거부할 수 있다. 마. 심사 기준 ① 심사위원은 문제의 제기, 연구방법의 타당성, 연구의 독창성 및 학문적 기여도, 논술구조, 문헌과 자료의 적절성, ‘원고작성 규정’의 충실성 등 을 심사 기준으로 한다. ② 심사는 “가⋅수정⋅부”의 기준에 따라 3인 단심제로 하되 재심판정이 결정된 경우,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③ 논문심사 판정 기준표 <초심> 심사위원 1 심사위원 2 심사위원 3 심사결과 가가가게재가 가가수정 후 게재게재가 가가수정 후 재심게재가 가수정 후 게재수정 후 게재게재가 가가부수정 후 게재 가수정 후 게재수정 후 재심수정 후 게 수정 후 게재수정 후 게재수정 후 게재수정 후 게재 가수정 후 게재부수정 후 게재 가수정 후 재심수정 후 재심수정 후 게재 수정 후 게재수정 후 게재수정 후 재심수정 후 게재 가수정 후 재심부수정 후 재심 수정 후 게재수정 후 게재부수정 후 재심 수정 후 게재수정 후 재심수정 후 재심수정 후 재심 가부부게재불가 수정 후 게재수정 후 재심부게재불가 수정 후 재심수정 후 재심수정 후 재심게재불가 수정 후 게재부부게재불가 수정 후 재심수정 후 재심부게재불가 수정 후 재심부부게재불가 부부부게재불가 <재심> 심사위원 1 심사위원 2 심사위원 3 심사결과 가가가게재가 가가불가게재가 가부부게재불가 부부부게재불가 바.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결과 및 판정기준에 따라 논문의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그 결과를 투고자에게 통보한다. 7. 기타 가. 본 규정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의한다. 나. 『中國地域硏究』발간 일정은 다음과 같다. 단 투고논문 신청마감일 및 논문심사 마감일은 학회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다. 논문투고 마감 논문심사 마감(게재대상 선정) 수정접수 마감(인쇄작업) 학회지 발간 매권 1호1월 15일2월 10일2월 20일2월 28일 매권 2호4월 15일5월 10일5월 20일5월 31일 매권 3호7월 15일8월 10일8월 20일8월 31일 매권 4호10월 15일11월 10일11월 20일11월 30일 <div class="rule"> <p> </p> <div style="text-align: right;" align="right"> 제정 2014. 9. 1 / 수정 2017. 9. 1 </div> <div style="text-align: right;" align="right"> 수정 2018. 3. 1 / 수정 2019. 4. 1 </div> <div style="text-align: right;" align="right"> 수정 2020. 1. 1 / 수정 2024. 5. 31 </div> <p> </p> <div style="text-align: right;"> <br> </div> <br> <dl> <dt>1. 논문의 내용</dt> <dd> 『中國地域硏究』는 중국 경제⋅정치⋅사회⋅문화 등 사회과학 영역의 학술논문,연구노트 및 서평과 같은 연구성과물을 게재한다. </dd> </dl> <dl> <dt>2. 논문의 언어</dt> <dd> 원고는 한국어, 중국어 및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그 외의 언어로집필된 원고의 게재여부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dd> </dl> <dl> <dt>3. 논문의 독창성(표절의 방지)</dt> <dd> 가. 『中國地域硏究』에 투고하는 논문은 독창성을 갖는 것으로서 반드시 미발표된 것이어야 한다.<br> 나. 투고논문은 저자의 창의적 연구 결과물로 본인의 연구를 포함하여 다른연구자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br> 다. 투고자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논문유사도검사 서비스(논문표절방지 시스템)를 활용하여 표절방지에 대한 검증을 마쳐야 한다. </dd> </dl> <dl> <dt>4. 논문의 저작권</dt> <dd> 가. 투고 논문이 게재될 경우, 그 논문에 대한 모든 저작재산권은 학회에 귀속되며, 게재 논문은 저작자표시(CC BY)를 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br> 나. 투고자는 논문 투고 시 저작권 활용 동의서를 제출하여야 한다.</dd> </dl> <dl> <dt>5. 투고 자격과 투고 절차</dt> <dd> 가. 『中國地域硏究』에 논문을 투고하기 위해서는 모든 저자가 중국지역학회회원으로 가입하고 연회비를 납부하여야 한다. 회비 납부 여부는 사무국의 확인을 기준으로 한다.<br> 나. 『中國地域硏究』논문 투고자의 자격은 원칙적으로 박사학위 소지자로 하며, 박사학위 미취득자는 학위 취득자와 공동으로 투고한다.<br> 다. 『中國地域硏究』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지정된 기한에 본 학회의‘<a href="http://submission.jcas.kr" target="_self">온라인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http://submission.jcas.kr)</a>’을 통하여 투고한다.<br> 라. 논문 투고 시 소정의 ‘투고신청서’를 편집위원회 이메일(casak2014@daum.net)로 송부하여야 한다.<br> 마. 제출 원고는 본 학회의 ‘원고작성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br> 바. 논문의 심사 및 게재 시 소정의 심사비 및 게재비를 납입하여야 한다. 심사비 및 게재비에 관한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별도 규정에 따른다.</dd> </dl> <dl> <dt>6. 논문심사의 절차 및 기준</dt> <dd> 가. 『中國地域硏究』의 심사는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을 통하여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진행한다.<br> 나. 편집위원회는 투고 논문의 제목 및 내용에 따라 전공에 부합하는 3인의 심사위원을 위촉한다. <br> 객관적이고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투고자와 동일 소속 기관의 연구자는 심사위원에서 배제한다.<br> 다. 심사위원은 정해진 기한 내에 심사결과를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을 통하여 편집위원회에 발송한다.<br> 라. 투고된 원고에 대하여 심사위원이 수정을 요구할 경우, 투고자는 이에 따라 수정하거나 답변을 제출한다. 투고자가 심사위원의 수정요구에 응하지않으면 편집위원회는 투고 논문의 게재를 거부할 수 있다.<br> 마. 심사 기준<br> <blockquote> ① 심사위원은 문제의 제기, 연구방법의 타당성, 연구의 독창성 및 학문적기여도, 논술구조, 문헌과 자료의 적절성, ‘원고작성 규정’의 충실성 등을 심사 기준으로 한다.<br> ② 심사는 “가⋅수정⋅부”의 기준에 따라 3인 단심제로 하되 재심판정이결정된 경우,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br> ③ 논문심사 판정 기준표<br> <초심><br> <table class="table_con mt10"> <colgroup><col width="25%"><col width="25%"><col width="25%"><col width="25%"></colgroup> <thead> <tr> <th> 심사위원 1 </th> <th> 심사위원 2 </th> <th> 심사위원 3 </th> <th> 심사결과 </th> </tr> </thead> <tbody> <tr><td>가</td><td>가</td><td>가</td><td>게재가</td></tr> <tr><td>가</td><td>가</td><td>수정 후 게재</td><td>게재가</td></tr> <tr><td>가</td><td>가</td><td>수정 후 재심</td><td>게재가</td></tr> <tr><td>가</td><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게재</td><td>게재가</td></tr> <tr><td>가</td><td>가</td><td>부</td><td>수정 후 게재</td></tr> <tr><td>가</td><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게</td></tr> <tr><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게재</td></tr> <tr><td>가</td><td>수정 후 게재</td><td>부</td><td>수정 후 게재</td></tr> <tr><td>가</td><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게재</td></tr> <tr><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게재</td></tr> <tr><td>가</td><td>수정 후 재심</td><td>부</td><td>수정 후 재심</td></tr> <tr><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게재</td><td>부</td><td>수정 후 재심</td></tr> <tr><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재심</td></tr> <tr><td>가</td><td>부</td><td>부</td><td>게재불가</td></tr> <tr><td>수정 후 게재</td><td>수정 후 재심</td><td>부</td><td>게재불가</td></tr> <tr><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재심</td><td>게재불가</td></tr> <tr><td>수정 후 게재</td><td>부</td><td>부</td><td>게재불가</td></tr> <tr><td>수정 후 재심</td><td>수정 후 재심</td><td>부</td><td>게재불가</td></tr> <tr><td>수정 후 재심</td><td>부</td><td>부</td><td>게재불가</td></tr> <tr><td>부</td><td>부</td><td>부</td><td>게재불가</td></tr> </tbody> </table> <br> <재심><br> <table class="table_con mt10"> <colgroup><col width="25%"><col width="25%"><col width="25%"><col width="25%"></colgroup> <thead> <tr> <th> 심사위원 1 </th> <th> 심사위원 2 </th> <th> 심사위원 3 </th> <th> 심사결과 </th> </tr> </thead> <tbody> <tr><td>가</td><td>가</td><td>가</td><td>게재가</td></tr> <tr><td>가</td><td>가</td><td>불가</td><td>게재가</td></tr> <tr><td>가</td><td>부</td><td>부</td><td>게재불가</td></tr> <tr><td>부</td><td>부</td><td>부</td><td>게재불가</td></tr> </tbody> </table> </blockquote> 바.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결과 및 판정기준에 따라 논문의 게재 여부를결정하며, 그 결과를 투고자에게 통보한다. </dd> </dl> <dl> <dt>7. 기타</dt> <dd> 가. 본 규정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의한다.<br> 나. 『中國地域硏究』발간 일정은 다음과 같다. 단 투고논문 신청마감일 및 논문심사 마감일은 학회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다. <table class="table_con mt10"> <colgroup><col width="20%"><col width="20%"><col width="20%"><col width="20%"><col width="20%"></colgroup> <thead> <tr> <th> </th> <th> 논문투고 마감 </th> <th> 논문심사 마감(게재대상 선정) </th> <th> 수정접수 마감(인쇄작업) </th> <th> 학회지 발간 </th> </tr> </thead> <tbody> <tr><td>매권 1호</td><td>1월 15일</td><td>2월 10일</td><td>2월 20일</td><td>2월 28일</td></tr> <tr><td>매권 2호</td><td>4월 15일</td><td>5월 10일</td><td>5월 20일</td><td>5월 31일</td></tr> <tr><td>매권 3호</td><td>7월 15일</td><td>8월 10일</td><td>8월 20일</td><td>8월 31일</td></tr> <tr><td>매권 4호</td><td>10월 15일</td><td>11월 10일</td><td>11월 20일</td><td>11월 30일</td></tr> </tbody> </table> </dd> </dl></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