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지역연구 Vol.12 No.3 pp.221-260
https://www.doi.org/10.34243/JCAS.12.3.221
中国高校就业困难毕业生就业困境的实证分析与协同治理路径 - 基于中国138所高校7093名毕业生的实证研究 -
Key Words : University graduates,Employment difficulties,Influencing factors,Collaborative governance,Empirical research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138개 대학교의 2023년 졸업생 7,0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층화 무작위 표집 설문조사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통해 중국 대학교 취업 취약 졸업생의 취업난 실태와 그 영향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학력 수준, 대학 수준, 가정의 경제 상황 및 인적 자본은 졸업생의 취업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과 대학의 취업 지도는 취약 계층의 취업에 긍정적인 촉진 작용을 하는 반면, 구조적 모순과 불완전한 시장 메커니즘은 취업난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자 일체(四位一体)' 협력 거버넌스 프레임워 크에 기초하여, 주요 취업 영향 요인에 근거해 정부 주도의 정책적 보장, 기업의 산학협력 심화, 대학의 취업 역량 강화 교육, 학생의 다차원적 자본 함양 등 네 가지 차원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졸업생의 취업난 해결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준거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