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으로
HOME E-MAIL SITEMAP E-SUBMISSION

중국지역연구

Archive

HOMEArchive Archive

중국지역연구 Vol.12 No.3 pp.195-219 https://www.doi.org/10.34243/JCAS.12.3.195
1930-1940년대 중국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성과와 한계
이정구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객원연구원
Key Words : Trotskyism,Permenant Revolution,Degenerated Workers State,Sino-Japanese War,Pacific War

Abstract

이 논문은 1930-194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던 중국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정치적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중국 트로츠키주의 운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에서 출발하는데, 탕바오린과 류핑메이의 저작과 중국 트로츠키주 의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던 천두슈, 왕판시, 정차오린 그리고 펑수즈의 글들을 1차 자료로 삼아 분석한다. 하지만 신중국 정부의 탄생 과정에서 중국 트로츠키주의에 대한 중공의 적대 적인 태도 때문에 중국 트로츠키주의에 대한 중국 학계의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중국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역사를 간략하게 서술한 다음 세 가지 쟁점에서 중국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의미와 약점을 살펴보고 있는데, 그 세 가지 쟁점은 1927년 국민혁명 이후 정세관, 혁명의 주체 문제 그리고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의 성격이다. 마지막으로 1930년대와 1940 년대에 중국 트로츠키주의 조직은 중공(과 코민테른 그리고 소련공산당)의 정치적 활동과 비교해 정치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지만 실패했는데, 그 이유를 외부적 요인이 아닌 중국 트로츠키주의의 정치적 약점에서 규명하고 있다. 특히 중국 트로츠키주의 조직은 중공과 신중국 사회에 대해 잘못된 정식화를 제시했고, 이 때문에 홍콩으로 이전한 뒤에도 정치적 생명을 연장할 수 없었다. 비록 트로츠키주의 운동이 중국에서 사라졌지만 신중국 정부가 국내외에서 받는 압력 때문에 노동자와 농민을 통제하고 억압할 것이라는 지적은 오늘날의 중국 사회를 이해하는 하나의 통찰력이라 할 수 있다.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