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지역연구 Vol.12 No.3 pp.81-102
https://www.doi.org/10.34243/JCAS.12.3.81
중국의 FDI와 ODI 주요 정책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Key Words : FDI,ODI,China,Economic Policy,FDI,ODI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와 해외직접투자(ODI)의 최근 현황과 구조적 특징,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정책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과거 노동집약적 제조업과 수출가공 중심에서 첨단제조업과 디지털경제, 친환 경, 신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질적 전환을 이루고 있으며, 외자기업의 재투자 확대, 제도적 신뢰 구축,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연계된 전략적 유치가 주요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 의 해외직접투자는 초기 자원확보형, 저비용 생산기지 중심 투자에서 벗어나 전기차와 배터 리, 반도체, 인공지능, 디지털 인프라 등 글로벌 가치사슬 핵심 산업으로 이동하며, ESG와 녹색 전환을 반영한 질적 성장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미중 전략경쟁, 보호무 역주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불확실성 속에서 중국이 위험을 통제하면서도 글로벌 영향력을 확장하는 양면 전략을 보여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 한국은 중국의 산업 구조 전환 과 글로벌 투자 전략 변화에 대응하여 첨단 제조 및 디지털 경제, 친환경 산업에서 협력과 동반 진출을 모색하고, 국제 규제 및 기술패권 경쟁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전략을 강화해야 한하며,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와 해외직접투자의 산업별, 지역별 성과와 글로벌 공급망 변동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대응 시나리오를 구체화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