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으로
HOME E-MAIL SITEMAP E-SUBMISSION

중국지역연구

Archive

HOMEArchive Archive

중국지역연구 Vol.12 No.3 pp.51-80 https://www.doi.org/10.34243/JCAS.12.3.51
SNA를 활용한 중국 스마트양로(智慧养老) 연구동향 분석
김복희 국립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강사
이춘수 국립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교수
Key Words : China,Smart Elderly care,Research trends,Semantic Network Analysis,Social network analysis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15년간 ICT 발전에 따른 중국 스마트양로의 양로 융합 기술 및 지원 정책을 탐색해 향후 연구 주제와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2011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정책 이벤트를 기준으로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중국 DB플랫폼 CNKI에서 스마트와 양로를 초록에 포함하는 조건으로 스마트양로 관련 학술논문 6,346편을 수집하였다. 주제어(关键 词)를 취합해 정제 작업을 거친 후 1시기 1,970개, 2시기 3,707개, 3시기 4,831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 중 시기별 44개, 60개, 69개의 키워드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UCINET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응용 측면에서 ‘인공지 능', ‘로봇', ‘메타버스'는 정책 지침에 힘입어 향후 5년간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며, 특히 양로서비스로봇에 대한 사례 연구가 더해질 것이다. 둘째, 정책지원 측면에서 정부 주도의 ‘실버경제'와 ‘스마트양로' 육성은 기술을 통해 고령화 사회를 해결하는 접근 방식으 로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핵심 주제 측면에서 ‘타임뱅크', ‘가상양로원' 플랫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스마트 재가양로를 중심으 로 한 지속가능한 모델로서 높은 양로비용과 양로부담, 양로자원 부족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