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지역연구 Vol.3 No.1 pp.124-148
https://www.doi.org/
징동의 글로벌B2C 구축에 관한 사례 연구
Key Words : JD.COM,e-commerce market,B2C business model
Abstract
본 논문은 중국 전자상거래의 대표기업인 징동의 글로벌B2C시장 판매망 구 축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중국의 온라인시장은 2010년 이후는 B2C가 주요 성 장 동력이 되고 있다. B2C시장에서 단순 중계 기능의 Tmall과 달리 징동은 회 사가 생산자로부터 자체매입을 한 후 재판매하는 직매입형태의 비즈니스모델 위주이다. 따라서 징동의 핵심경쟁력은 직매입 물건에 대한 정품보장 및 광범 위한 물류서비스 유통망 확보를 들 수 있다. 2015년 6월 기준으로 징동은 중국 내 2043개 구, 현에 대한 물류 커버리지를 확보했으며 7개 1급 물류센터와 44 개 도시 166개의 물류창고 운영을 하고 있고 50% 이상의 지역에 대해 익일도 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징동은 위조품 발견 시 ‘무관용의 원칙'을 적용 하고 있으며 확실한 교환, 반품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소비자의 신뢰를 받고 있다. 중국의 B2C해외직구 시장은 2008∼2014년의 연평균 성장률이 94%에 달할 정도로 고성장을 이룩하였다. 이는 중국정부가 해외직구시장이 내수시장 활성 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안전성이나 신뢰성 있는 제품 선택의 폭이 넓어진 데서 기인한다. 중국 해외직구의 이용 연령대는 80后세대 가 60%로 상당히 높으며 중국인들의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는 의류/잡화와 화장품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의 내용을 통해서 우리는 한국의 중소 기업들이 중국 내에 별도의 법인이 없고, 품질과 관련된 인허가 사항이 없더라도 JD Worldwide와 같은 글로벌B2C업체를 이용해 기존 유통망과는 별도로 상 대적으로 저비용, 고효율로 중국 내수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경험이 적고 제반 환경이 약한 우리 중소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외직구 메이저플랫폼에 입점을 하여 교두보를 마련 한 후 본격적인 진입방법을 모색할 것을 방안으로 제시하며, 중국 내 O2O, 핀 테크 등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또 다른 도약과 회 복이 어려운 낙오자로 남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